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1706년 지방유림의 공의로 생육신인 조려, 원호, 김시습, 이맹전, 성담수, 남효온의 위패를 모신 서산서원을 비롯해 주세붕 선생을 모신 덕연서원, 공자와 함께 우리나라 명현 18위를 배향하고 있는 함안향교 등은 모두 조선시대 학자들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한 곳인 만큼 이들을 돌아보면 당시 유림들의 청백리를 직접 느낄 수 있다.
총거리
33.48 km
경기도 문화의 역사와 전통을 헤아리며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 걸립된 경기도박물관은 1996년 6월 21일에 개관한 이후 2008년 3월 1일 자로 경기문화재단 소속으로 변경되며 각종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 하는 등 그동안의 보존중심의 박물관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도 문화의 역사와 전통을 헤아리며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 걸립된 경기도박물관은 1996년 6월 21일에 개관한 이후 2008년 3월 1일 자로 경기문화재단 소속으로 변경되며 각종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 하는 등 그동안의 보존중심의 박물관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소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85
연락처031-288-5300
국내최초 어린이들을 위한 독자적 건물로 지어진 체험식 박물관으로 어린이들의 꿈과 호기심을 자극하며 전시물과 소통하며 스스로 상상력을 깨우고 배워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전시물과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각각의 테마와 주제를 통해 연령별 지식습득의 차를 두고 있다.
국내최초 어린이들을 위한 독자적 건물로 지어진 체험식 박물관으로 어린이들의 꿈과 호기심을 자극하며 전시물과 소통하며 스스로 상상력을 깨우고 배워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전시물과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각각의 테마와 주제를 통해 연령별 지식습득의 차를 두고 있다.
주소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85
연락처031-270-8600
백련사는 801년 신응선사가 창건한 고찰로 대웅전과 나한전 등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삼지 않고 대적광전에서 주로 모시는 삼신불을 모시고 있다. 백련사 나한전에는 조선 후기 목불좌상1구와 지불좌상 1구, 석조나한상 16구 등이 안치되어 있다.
백련사는 801년 신응선사가 창건한 고찰로 대웅전과 나한전 등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삼지 않고 대적광전에서 주로 모시는 삼신불을 모시고 있다. 백련사 나한전에는 조선 후기 목불좌상1구와 지불좌상 1구, 석조나한상 16구 등이 안치되어 있다.
주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연락처031-324-2068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