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함평 하늘에는 나비와 잠자리, 땅에는 꽃과 난초, 물에는 수생식물과 물고기가 있다. 사계절 생태체험이 가능한 함평자연생태공원을 시작으로 일강 김철선생 기념관, 용천사로 이어지는 코스를 따라가 보자.
가야읍에서 함안면으로 드는 경계지점인 괴산리의 국도변에 가로수가 늘어서 있고, 그곳에 이끼로 가득한 돌담을 두르고 있는 무진정이 있다. 무진정은 조선 중종 때 춘추관 편수관을 지낸 조삼의 덕을 기리기 위해 후속들이 그의 호를 따서 지은 정자이다. 이곳은 정자의 풍모나 내력도 볼거리이지만, 정자 앞에 펼쳐진 연못의 정취도 빼어나기로 알려져 있다.
가야읍에서 함안면으로 드는 경계지점인 괴산리의 국도변에 가로수가 늘어서 있고, 그곳에 이끼로 가득한 돌담을 두르고 있는 무진정이 있다. 무진정은 조선 중종 때 춘추관 편수관을 지낸 조삼의 덕을 기리기 위해 후속들이 그의 호를 따서 지은 정자이다. 이곳은 정자의 풍모나 내력도 볼거리이지만, 정자 앞에 펼쳐진 연못의 정취도 빼어나기로 알려져 있다.
주소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괴산4길 25
연락처055-580-2301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뽑히는 어계 조려는 단종의 시신을 영월에서부터 수습해 장례를 치를 뒤 평생 은거하며 살았다. 그가 은거했던 지역에 세워진 정자 채미정은 소담한 팔작지붕과 눈에 확 띄는 현판이 조화를 이룬다. 백세청풍, 영원토록 변치 않는 매운 선비의 절개'를 말하는 정자의 앞에는 방형 연못이 운치를 돋운다.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뽑히는 어계 조려는 단종의 시신을 영월에서부터 수습해 장례를 치를 뒤 평생 은거하며 살았다. 그가 은거했던 지역에 세워진 정자 채미정은 소담한 팔작지붕과 눈에 확 띄는 현판이 조화를 이룬다. 백세청풍, 영원토록 변치 않는 매운 선비의 절개'를 말하는 정자의 앞에는 방형 연못이 운치를 돋운다.
주소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사군로 1216
연락처055-580-2301
시퍼렇게 날이 선 조려의 기개를 더 보겠다면 군북면에 자리한 그의 생가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조선 세종과 성종 때 활약한 문신으로 단종을 폐위하고 세조가 등극하자 과거도 보지 않고 두문불출했던 어계 조려의 생가는 지금은 후손들이 재실(齋室)로 사용하고 있다. 부연이 없는 홑처마이고 주두 위에 장식이 없는 민도리집이나 그의 절개를 엿보고도 남는다.
시퍼렇게 날이 선 조려의 기개를 더 보겠다면 군북면에 자리한 그의 생가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조선 세종과 성종 때 활약한 문신으로 단종을 폐위하고 세조가 등극하자 과거도 보지 않고 두문불출했던 어계 조려의 생가는 지금은 후손들이 재실(齋室)로 사용하고 있다. 부연이 없는 홑처마이고 주두 위에 장식이 없는 민도리집이나 그의 절개를 엿보고도 남는다.
주소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원북길 104-1
연락처055-580-2304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