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로 통하는 가야산 풍경소리
- 경상남도 합천군 -
단풍이 얼마나 진하게 물들면 계곡물까지 물든다 하여 ‘홍류동’ 계곡길이라 불릴까요? 해인사로 통하는 이 자연이 만든 천연 터널에서 사방을 둘러싼 숲과 계곡물 소리, 새소리를 벗 삼아 걷다 보면 심신이 편안해져옵니다.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자연의 소리가 오케스트라 협연하듯 어우러지며 귀를 간지럽힙니다. 그렇게 청아한 소리들을 따라 ‘가야산 소리길’을 밟아가다 보면 어느덧 속세에 찌든 마음은 씻어지고 깊은 사색에 잠겨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해인사로 통하는 풍경소리를 밟아가라!’ 이것이 <트래블아이>의 미션입니다.
소리길의 들머리는 대장경축전장 주차장이나 해인사 주차장 아래에 있는 영산교로 삼는다. 대장경축전장에서 영산교로 가는 길은 어떻게 가야 수월할까?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는 방향이 생각보다 가파르구나. 나중에 해인사를 둘러보고 홍류동 물길을 따라 내려오는 것이 걷기 수월하겠어.”
“잠깐! 우리가 해인사의 유물들을 전시해놓은 성보박물관을 잊고 지나칠 뻔했네. 의상의 맥을 이은 순응과 이정이 창건한 흔적을 알고 가지 않으면 안 되지!”
소리길 시작을 알리는 기둥이 보인다. 기둥을 통과하여 아치형의 영산교를 지나면 어떤 풍취가 우리를 기다릴까?
“영산교를 건너면서부터 소리길의 백미인 홍류동계곡이 모습을 드러냈어. 이 계곡은 가을단풍이 흐르는 물에 붉게 투영되어 보인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지?”
“드디어 생각났어! 계곡을 마주보고 서니 오래전에 버스를 타고 해인사로 가던 중에 홍류동계곡의 풍광에 반해 차창에 코를 박고 바라봤던 일이 떠올랐지 뭐야!”
해인사로 가는 길을 나설 때마다 어느 길을 이용할지 행복한 고민에 잠시 빠진다. 그럴 땐 천년간 이 길을 오간 이들이 남긴 풍류의 흔적들을 잠시 되새겨보는 건 어떨까?
“정조 때 문인 유한준이 해인사를 찾아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더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어.”
“그러고 보니 나도 기억 나! 홍류동 계곡 가운데 해인사로 통하는 가야산 소리길의 풍치가 가장 빼어난 농산정 풍광이 바로 최치원 선생이 빠져 신선이 됐다고 전해지는 곳이라지?”
이러한 소리길은 속세에 찌든 마음을 씻어내고 깊은 사색을 하기에 더없이 좋다. 잘 닦여진 가야산 소리길을 걷기 시작했다면 가장 먼저 청아한 계곡물 소리를 따라 나서보자.
“계곡은 지척에서 걷고 있는 저 옆사람 목소리조차 들리지 않을 정도로 큰 소리로 변했다가 이내 천년 노송과 어울려 솔바람처럼 잦아들기를 수없이 반복하고 있어.”
“귀를 기울이면 물소리, 새소리, 바람소리, 세월 가는 소리까지 다 아우르는 소리이고, 결국 소통의 길이자 우리가 추구하는 완성된 세계를 향해 가는 깨달음의 길 아닐까?”
소리길이 조성되기 전까지 이곳은 접근성이 그리 좋지 않았지만 이제 두 사람이 나란히 걷기에 적당한 폭의 숲길이 나있어 다양한 풍경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데?
“이 긴 계곡에 목재데크로 언제 이렇게 멋지게 새 단장을 한 걸까?” “영산교 아래로는 집채만 한 바위에서부터 조약돌까지 다양한 크기의 돌들이 계곡을 감싸고 있어."
"소리를 한번 들어봐. 계곡물은 “돌돌돌” 소리를 내는 것 같지? “바위를 타고 넘는 바람 소리는 세이~ 세이~ 하고 숨소리를 내는 것 같아.”
가야산 소리길의 또 다른 특징은 계곡에 여러 다리가 놓여 있다는 것이다. 총 몇 개의 다리가 놓여 있을까?
“물굽이가 장관인 곳들 위쪽에는 전망대를 설치해놓아 편하게 홍류동계곡의 풍광을 감상할 수 있으니 정말 좋아.”
“어디 그뿐일까? 각기 모양이 다른 다리들이 광폭의 계곡을 지그재그로 가로지르는데 그 모습이 마치 널을 뛰는 듯해. 가만, 우리가 여태 총 몇 개의 다리를 건너온 거지?”
수백 년 된 송림 숲이 뿜어내는 더없이 청량한 공기에 취해 이곳에서 고운 최치원 선생이 글을 읽거나 바둑을 두며 풍류를 즐기던 농산정에 남긴 글귀를 찾아보자.
“단풍이 매우 붉어서 흐르는 물조차 붉게 보일 정도로 풍광이 정말 뛰어나. 어, 여기 바위와 절벽 곳곳에 새겨진 글자들, 천년 세월의 무게가 고스란히 녹아 있음이 느껴지지 않니?”
“해인사 초입까지 왔다는 증거로구나. 홍류동 계곡은 최치원 선생이 노년을 지내다 갓과 신발만 남겨 둔 채 홀연히 신선이 되어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지.”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가 우거져 뜨거운 햇살을 막아주고, 길바닥도 순하여 숨이 차지도 않는다. 이 길 끝자락에 서서 ‘풍경소리’만으로 마음을 씻어낼 수 있을까?
“나무들이 빼곡하게 우거져 있고, 발아래는 흙길과 깨끗한 물이 흐르고, 머리 위에는 푸른 하늘이 따뜻하게 비춰주고… 이 길을 걸어오니 이로운 것을 깨닫게 되고, 스스로 마음의 힐링을 얻을 수 있었어.”
“소리길은 눈에 보이는 공간이 모두 이로운 것을 깨닫는 소리야. 즉 그것은 자연이라고!”
홍류동 계곡은 천년 세월의 무게가 녹아 있는 합천 8경 중 3경인 동시에 가야산 19경 가운데 16경까지를 모두 만날 수 있을 정도로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 밤에는 해인사에서 작은 음악회와 시낭송 이벤트도 펼쳐져 가을의 운치를 더합니다. 그렇게 산사에서의 하룻밤은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어 자신의 삶을 더욱 풍족하게 합니다. 몸과 마음에 희망을 가져다주는 가야산 소리길은, 수백 년 된 송림 숲에서 뿜어져나오는 신선한 공기, 산새소리와 해인사의 풍경소리로 마음을 씻어낼 수 있는 해인사 소리길로 힐링여행 떠나보는 건 어떠세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2길 15, 393호 Tel: 02-408-9274 Fax: 02-595-9274
copyright (c) 문화마케팅연구소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