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만 간다 하면 심통을 부리는 아들 녀석이 유달리 좋아하는 절이 있다. 바로 부산에 있는 해동용궁사다. 아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맞는 첫 여름방학을 기념하여 온 가족이 함께 바다에 놀러 간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들렀던 곳이 바로 해동용궁사다.
나라고 해서 불심이 깊어 절에 가는 것은 아니다. 어머니는 불자이셨지만, 나는 전형적인 무교다. 내가 절을 좋아하는 것은, 교회와는 또 다른 빛깔의 화려한 색채들과 그윽한 향내의 조화가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용! 용 있는 절! 용 사는 절!”
“어휴, 진형아. 조용히 좀 하자. 지금 가고 있잖아.”
부산에 도착하자마자 차 안에서 소리를 질러 대는 진형이를 달래느라 진땀을 뺐다. 남편이 옆에서 ‘이제는 진형이가 당신보다 더 절을 좋아하게 되었다’며 웃었다. 사실 나는 오랜만에 비키니도 입어보고 싶고, 바다 절벽 위에 자리한 펜션에서 여유를 즐기고 싶은데 주객이 전도 되어 버린 기분이다.
남편이 취향이 워낙에 유치한지라 진형이가 걸음마를 시작할 무렵부터 함께 <드래곤볼>을 보았는데, 진형이는 여기 나오는 용신을 제일 좋아했다. 어린 아이가 보기에는 폭력적인 면이 없지 않은 만화영화라 걱정했었는데, 주인공이 지구를 구하고 말고가 문제가 아니라 그냥 커다란 용신이 멋있단다.
그리고 그 때부터 용 모형만 보면 사 달라고 떼를 쓰곤 했는데, 그런 진형이를 해동용궁사로 유인하기 위해 ‘그 절에 사실 용이 살고 있다’고 말한 것이 이렇게 일이 커질 줄은 정말 몰랐던 것이다.
결국 다른 일정을 모두 제쳐 두고 용궁사를 제일 먼저 찾았다. 일부러 평일을 골라 왔는데도 주차장에 차들이 넘쳐나는 것이, 혹시 다른 엄마들도 다 나와 같은 거짓말을 해서 아이들을 데려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엄마, 빨리 좀 와! 엄마는 느림보야! 무천도사 같아!”
그게 누군지 묻기도 전에 진형이가 저만치 달려 나간다. 노점상에서 파는 씨앗 호떡 하나를 들려주어 겨우 진형이를 진정시키고 용궁사 가는 길을 올랐다. 같이 좀 말려 주면 좋을 텐데, 남편은 용을 외치며 방방 뛰고 있는 진형이가 그저 귀여운 모양이었다. 용궁사 가는 길에 있는 십이지상 앞에서 원숭이띠를 찾아 사진을 찍어 주니 또 좋아 죽겠단다. <드래곤볼>에 나오는 주인공도 원숭이라던데, 자기가 만화영화 속의 주인공이라도 된 것 같은 기분이 드는가 보다.
두 번째로 오는 길인데도 이렇게 난리 법석인데, 초행길은 오죽했겠는가.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절경에는 관심도 두지 않고 용을 찾고 있던 진형이가 없어져 울상이 돼 있는데, 대웅보전 앞에 서 있는 진형이가 보였다.
무엇을 보고 있나 했더니, 대웅보전 앞에서 꿈틀대고 있는 커다란 비룡상과 비룡이 쥐고 있는 여의주였다. 용이 좋다, 좋다 노래를 부르더니만 막상 눈앞에 있는 용을 보니 무서웠던지 뒷걸음질을 치던 진형이가 그대로 주저앉아 버렸다. 내가 진형이한테 가기도 전에 지나가던 어르신 한 분이 얼른 진형이를 일으켜 세웠는데, 진형이는 감사하다는 인사 대신 ‘드래곤볼!’하고 소리를 질렀다.
세상에, 드래곤볼이라니! 얼굴이 새빨개진 나를 제외하고는 지나가던 사람들이 모두 웃음을 터뜨렸다. 심지어는 남편까지도 저만치 서서 큰 소리로 웃고 있었던 것이다! 그 때 그 당혹감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백팔계단 초입에 선 득남상의 코와 배에 사람들의 손때가 잔뜩 묻은 것을 보고 웃음이 나왔다. 신혼여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용궁사에 들러, 나도 옥두꺼비 같은 아들 하나 내려 주십사 하고 득남상의 배를 쓰다듬어 본 기억이 떠올랐다.
그리고 낳은 아이가 용궁사에서 용을 찾겠다고 신이 나 있으니, 정말이지 인간사란 알 수 없는 일이다. 남편이랑 진형이가 앞서 나가서 빨리 오라고 마구 손짓을 해 댄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진형이가 조금 더 자라 용신을 믿지 않게 되면 거짓말에 대한 책임을 물어오지는 않을까 불안해졌다. 아무렴 어떠랴. 지금 이렇게 즐거우니. 용궁사에서 날아올랐다는 용님께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