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신 뒤, 일곱 살 터울의 우리 남매는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왔다. 친척집에서 독립한 뒤로는 오빠가 밤낮없이 아르바이트를 하여 생활비를 충당했고, 둘 다 무사히 고등학교까지 졸업한 뒤에는 몇 년을 더 일하여 작은 카페 하나를 차릴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다툰 기억이 거의 없다. 서로가 서로에게 아주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마음으로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일까. 서로를 이해하려 무던히도 노력해 왔고, 기쁜 일이 있어도 고민이 있어도 가장 먼저 서로에게 말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오빠와 말다툼을 하는 일이 많다. 아마 내가 연애를 시작하면서부터였던 것 같다. 여느 가정의 오빠들처럼, 우리 오빠도 내 동갑내기 남자친구를 덮어두고 싫어했다. 하지만 나도 이제 스물여덟이었다. 누군가의 보호자가 되어도 될 나이에 여전히 보호받고 있다는 것은 때로 나를 갑갑하게 만들었다.
“다희야, 너 또 걔 만나고 늦게 들어온 거야? 오빠가 말했잖아. 걔는 안 된다니까?”
나는 오빠의 말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며 방으로 들어와 문을 닫았다. 거실에서 오빠가 한숨을 쉬는 소리가 방 안까지 들렸다.
오빠의 마음을 아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었다. 오빠가 성인이 되었을 무렵에도 나는 초등학생이었으니, 오빠가 나를 키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빠는 내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누구보다 잘나게 살길 바라고 있었다.
내 남자친구는 잘 생기지도 않았고, 집안에 돈이 많지도 않으며, 돈을 많이 벌지도 못한다. 오빠가 바라는 내 신랑감이란 내 남자친구와는 정 반대의 인물이었다.
어느 날은 오빠가 남자친구의 험담을 심하게 하는 바람에 내가 울음을 터뜨리며 소리를 지른 적이 있었다. 오빠는 마치 사춘기의 딸을 처음 대하는 아버지처럼 어쩔 줄을 몰라 했다. 나는 나대로 감정이 상하여, 그대로 방문을 걸어 잠가 버렸다. 자기가 잘못했다며, 이 문 좀 열어보라는 오빠의 말이 계속 들렸지만 안 들리는 척 잠자리에 들었다.
다음 날 일어나보니 오빠가 오랜만에 나들이나 가자며 도시락을 싸고 있었다. 나는 나대로 오빠에게 미안하여 슬그머니 도시락 싸는 것을 도왔다. 그런데 오빠가 뜻밖의 말을 전해 왔다. 내 남자친구도 함께 갔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
얼떨결에 도착한 곳은 벽화마을이었다. 얼마 전에 조성된 마을이라고 들었는데, 다른 벽화마을들이 세련된 분위기를 풍기는 데에 비해 이 마을의 분위기는 완전히 시골이었다. 토담이나 돌담 위에 지게, 황소, 저고리를 입은 아이들, 단풍과 꽃 같은 것들이 그려져 있으니 말이다. 그 분위기가 너무 따스하여 홀린 듯 골목들을 걸었다.
오빠는 남자친구에게 양해를 구하고 나를 잠시 따로 데리고 나왔는데, 오빠가 가리키는 방향대로 가니 이상하게 생긴 나무가 서 있었다.
“어, 이게 뭐야? 연리지는 봤는데 뿌리가 얽힌 건 처음 보네.”
우리나라에서 한 그루밖에 없는 귀한 나무라고 했다. 오빠는 나무를 바라보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나는 사실 네가 죽을 때까지 나랑 함께 살았으면 했어. 솔직히 네가 나한테 동생이겠냐, 딸이지. 엄마랑 아빠가 돌아가셨을 때, 그 때는 나도 중학생이었어. 초등학교에도 못 들어간 네가 엄마 보고 싶다고 울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모르겠더라. 넌 그 때 어렸으니까 기억나지 않겠지만 고모도 우릴 많이 싫어하셨어. 너도 이제 시집 갈 나이이고 하니까, 네가 갑자기 결혼해서 집을 나가겠다고 하면 내가 누굴 보고 살아야 할지 막막하더라.”
나는 한 마디도 할 수 없었다. 말을 마친 오빠는 ‘데이트 재미있게 해.’라며 먼저 집으로 돌아갔다.
어렸을 때라고는 해도 여섯 살 무렵의 일인데 왜 기억나지 않겠는가. 나도 다 기억하고 있었다. 불쌍한 우리 오빠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바로 일을 하러 갔다. 고모에게 제 손으로 번 양육비를 드리고, 몰래 저축을 하여 나와 함께 도망치듯 고모 집을 나왔다. 내가 잠든 뒤에 집에 들어오고, 내가 잠에서 깨기 전에 집에서 나갔기에 나는 제대로 된 우리 집이 생긴 뒤에야 오빠의 얼굴을 제대로 볼 수 있었다.
돌아오는 차 안에서, 남자친구가 멋쩍게 웃으며 ‘내가 더 잘해야지.’라고 했다. 아무래도 자기가 많이 부족한 것 같다는 말도 덧붙였다. 나는 아니라며 고개를 저었다.
“오빠는 그냥 투정을 부리고 있을 뿐이야.”
나는 웃으며 눈을 감았다. 가족처럼 정겨운 분위기로 물들어 있던 마을, 그 한 구석에 같은 땅을 붙들고 서 있던 연리목이 꼭 우리 남매의 모습 같았다.